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복잡한 감정선? 간결한 연출? '마지막 썸머' VS '그해우리는' 비교

by creator04905 2025. 11. 14.

드라마를 보다 보면 어떤 작품은 장면 하나하나가 오래도록 남는 반면, 어떤 작품은 끝났는지도 모르게 지나가기도 해요. 그 차이는 단순히 스토리 때문만은 아닙니다. 요즘 드라마는 '감정선'이 핵심이에요. 얼마나 인물의 감정을 현실적으로 풀어내느냐, 그리고 그걸 얼마나 부담 없이 연출하느냐에 따라 완성도가 달라지죠. 대표적인 예가 바로 2021년에 방영된 <그해 우리는>과, 2025년 11월 현재 넷플릭스에서 방영 중인 <마지막 썸머>입니다. 두 드라마 모두 ‘리모델링 로맨스’, 즉 한 번 끝났던 관계가 다시 시작되는 이야기지만, 감정을 보여주는 방식은 정반대에 가까워요. 이번 글에서는 이 두 드라마를 감정 연출, 전개 방식, 리모델링 로맨스의 특징 중심으로 비교해 보겠습니다.

감정 연출, 세밀하게 쌓아 올린 ‘그해 우리는’

<그해 우리는>은 전형적인 첫사랑 재회물처럼 보이지만, 그 감정선을 풀어가는 방식이 굉장히 섬세합니다. 웅과 연수는 고등학교 시절의 다큐 촬영을 계기로 시작된 인연이지만, 성인이 된 이후 다시 만나며 감정의 결이 완전히 달라지죠. 이 드라마의 감정 연출은 대사보다 ‘멈춤’과 ‘시선’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때 난 나 자신도 잘 몰랐어. 그냥 널 멀리하면 덜 아플 줄 알았거든.”

“그래서였구나. 난 그냥… 내가 싫어진 줄 알았어.”

이런 대사들이 말해주는 건 미련이 아니라, 여전히 진행 중인 감정이라는 점이에요. <그해 우리는>은 이처럼 감정을 천천히 쌓아가며, 그 밀도를 통해 시청자와 연결되는 드라마예요.

드라마 분석, 현실을 직시하는 ‘마지막 썸머’

2025년 11월에 첫 방송된 <마지막 썸머>는 현재까지 4회가 방영된 청춘 로맨스 드라마입니다. 주무관 송하경(최성은)과 건축가 백도하(이재욱)의 과거와 현재가 교차하며 펼쳐지는 리모델링 로맨스로, 시골 마을 ‘파탄면’을 배경으로 진행돼요.

“그때는 몰랐어, 어떻게 아껴야 하는지.” – 송하경, 3화

하경의 말은 도하에게 직접 사과하거나 애정을 고백하는 방식은 아니지만, 충분히 깊은 감정을 전달하고 있어요. 여기에 도하는 대답하지 않아요. 그저 하경의 말을 듣고 있는 장면에서 감정이 흐릅니다. <마지막 썸머>는 말보다는 ‘받아들이는 태도’로 감정을 보여주는 드라마예요.

리모델링 로맨스, 감정선이 바뀌고 있다

이 두 드라마는 모두 ‘다시 시작된 사랑’을 다루지만, 감정선을 그려내는 방식은 다릅니다. <그해 우리는>은 관계를 회복하기 위한 감정의 ‘과정’에 집중해요. 반면 <마지막 썸머>는 감정을 솔직하게 꺼내놓고, 그 안에서 과거를 마주보는 데 더 집중합니다.

요즘 로맨스 드라마가 보여주는 감정선은 과거와 많이 달라졌습니다. 오글거리거나 판타지에 치우친 사랑보다, 누구나 한 번쯤 겪었을 법한 감정과 상황에 집중하는 리모델링 로맨스가 대세예요. 그리고 그 중심엔 감정을 ‘과장하지 않는 연출’과 ‘덜어낸 대사’가 있습니다. <그해 우리는>과 <마지막 썸머>는 그 변화의 흐름을 가장 잘 보여주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겠죠.

드라마 '그해우리는' 그리고 '마지막썸머' 포스터